회원 관리 예제 - 백엔드 개발

2025. 9. 19. 21:35개발/스프링

반응형

비즈니스 요구사항 정리

  • 데이터: 회원ID, 이름
  • 기능: 회원 등록, 조회
  • 아직 데이터 저장소가 선정되지 않음(가상의 시나리오)

일반적인 웹 어플리케이션 계층 구조

  • 컨트롤러: 웹 MVC의 컨트롤러 역할
  • 서비스: 핵심 비즈니스 로직 구현
  • 리포지토리: 데이터베이스에 접근, 도메인 객체를 DB에 저장하고 관리
  • 도메인: 비즈니스 도메인 객체, 예) 회원, 주문, 쿠폰 등등 주로 데이터베이스에 저장하고 관리됨

클래스 의존관계

  • 아직 데이터 저장소가 선정되지 않아서, 우선 인터페이스로 구현 클래스를 변경할 수 있도록 설계
  • 데이터 저장소는 RDB, NoSQL 등등 다양한 저장소를 고민중인 상황으로 가정
  • 개발을 진행하기 위해서 초기 개발 단계에서는 구현체로 가벼운 메모리 기반의 데이터 저장소 사용

회원 도메인과 리포지토리 만들기

회원 리포지토리 테스트 케이스 작성

  • 개발한 기능을 실행해서 테스트 할 때 자바의 main 메서드를 통해서 실행하거나, 웹 애플리케이션의 컨트롤러를 통해
    서 해당 기능을 실행한다. 
  • 이러한 방법은 준비하고 실행하는데 오래 걸리고, 반복 실행하기 어렵고 여러 테스트를 한번에 실행하기 어렵다는 단점이 있다. 
  • 자바는 JUnit이라는 프레임워크로 테스트를 실행해서 이러한 문제를 해결한다.

회원 서비스 개발

퀴즈

        • 애플리케이션 개발 시 비즈니스 핵심 로직(예: 중복 회원 확인)을 주로 담당하는 계층은 무엇일까요?
          • 서비스 계층은 애플리케이션의 핵심 비즈니스 규칙을 구현합니다. 사용자의 요청을 처리하기 위해 리포지토리 등을 활용해요. 컨트롤러는 요청을 받고, 리포지토리는 데이터 접근을 담당합니다.
        • 데이터 저장 방식이 아직 결정되지 않은 상황에서, 리포지토리 구현체의 변경에 유연하게 대처하기 위한 설계 방식은 무엇인가요?
          • 리포지토리를 인터페이스로 추상화하면, 실제 데이터 저장 기술(DB, JPA 등)이 나중에 결정되어도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다른 클래스로 쉽게 교체할 수 있습니다. 초기엔 메모리 구현체를 활용하기도 합니다.
        • JUnit 테스트 케이스 작성 시, 여러 테스트 메서드가 실행될 때 각 테스트가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하게 만들기 위한 방법은 무엇인가요?
          • 테스트는 실행 순서와 관계없이 독립적이어야 합니다. 이전 테스트의 결과(공유 데이터)가 다음 테스트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, 각 테스트 실행 전/후에 데이터를 정리하는 작업이 중요합니다.
      • 서비스 계층과 리포지토리 계층의 역할 및 이름 부여 방식에 대한 설명 중 적절하지 않은 것은 무엇일까요?
        • 리포지토리는 데이터 접근(저장, 조회 등)에 집중하며, 서비스 계층은 리포지토리를 활용하여 비즈니스 로직을 수행합니다. 복잡한 비즈니스 로직은 서비스 계층의 역할입니다.
      • 서비스 객체가 자신이 의존하는 리포지토리 객체의 구현체를 직접 생성하지 않고, 외부(설정 등)에서 전달받아 사용하는 설계 방식을 무엇이라고 하나요?
        • 의존성 주입(DI)객체가 필요한 다른 객체(의존성)를 직접 생성하지 않고 외부에서 받아 사용하는 방식입니다. 코드의 재사용성을 높이고 테스트하기 쉽게 만들어 줍니다.
 
반응형

'개발 > 스프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GET, POST 메서드  (1) 2025.09.22
회원 관리 예제 - 웹 MVC 개발  (0) 2025.09.22
스프링 빈과 의존관계  (0) 2025.09.20
스프링 웹 개발 기초  (1) 2025.09.18
spring 환경설정  (1) 2025.09.08