스프링 웹 개발 기초
2025. 9. 18. 21:45ㆍ개발/스프링
반응형
정적 컨텐츠
MVC와 템플릿 엔진
- MVC: Model, View, Controller
Api
- `@ResponseBody` 를 사용
- HTTP의 BODY에 문자 내용을 직접 반환
- `viewResolver` 대신에 `HttpMessageConverter` 가 동작
- 기본 문자처리: `StringHttpMessageConverter`
- 기본 객체처리: `MappingJackson2HttpMessageConverter`
- byte 처리 등등 기타 여러 HttpMessageConverter가 기본으로 등록되어 있음
퀴즈
- 스프링 웹 개발의 세 가지 주요 방식인 정적 컨텐츠, MVC, API는 각각 어떤 결과를 주로 반환할까요?
- 각 방식은 서버 응답의 형태가 달라요. 정적은 파일 그대로, MVC는 가공된 HTML, API는 데이터 형태를 주로 반환하죠.
- 정적 컨텐츠 방식으로 파일을 전달할 때 서버에서 어떤 처리를 거치게 될까요?
- 정적 컨텐츠는 서버에서 내용을 변경하거나 처리하지 않고 요청된 파일을 그대로 브라우저에 전달하는 방식이에요.
- MVC 패턴에서 Controller와 View를 분리하는 주된 이유는 무엇일까요?
- MVC는 역할을 분리(관심사 분리)하여 코드를 더 체계적이고 관리하기 쉽게 만드는 설계 패턴이에요.
- 웹 개발에서 API 방식(특히 객체 반환)은 주로 어떤 목적을 위해 사용될까요?
- API는 화면 구성보다는 필요한 데이터 자체를 JSON과 같은 형식으로 클라이언트에 보내주는 데 중점을 둬요.
- 스프링에서 컨트롤러 메서드가 객체를 반환하고 @ResponseBody 어노테이션이 붙어있을 때, 객체를 클라이언트에 전달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는 역할을 하는 것은 무엇일까요?
- @ResponseBody가 붙으면 뷰 리졸버 대신 HTTP 메시지 컨버터가 동작하여 객체를 JSON 등으로 변환해 응답 본문에 담아줘요.
- @ResponseBody가 붙으면 뷰 리졸버 대신 HTTP 메시지 컨버터가 동작하여 객체를 JSON 등으로 변환해 응답 본문에 담아줘요.
반응형
'개발 > 스프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spring 환경설정 (1) | 2025.09.08 |
---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