스프링 빈과 의존관계

2025. 9. 20. 17:25개발/스프링

반응형

컴포넌트 스캔과 자동 의존관계 설정

  • 회원 컨트롤러가 회원서비스와 회원 리포지토리를 사용할 수 있게 의존관계를 준비하자.

  • memberService가 스프링 빈으로 등록되어 있지 않다.

스프링 빈을 등록하는 2가지 방법

  • 컴포넌트 스캔과 자동 의존관계 설정
  • 자바 코드로 직접 스프링 빈 등록하기

컴포넌트 스캔 원리

  • `@Component` 애노테이션이 있으면 스프링 빈으로 자동 등록된다.
  • `@Controller` 컨트롤러가 스프링 빈으로 자동 등록된 이유도 컴포넌트 스캔 때문이다.
  • `@Component` 를 포함하는 다음 애노테이션도 스프링 빈으로 자동 등록된다.
    • `@Controller`
    • `@Service`
    • `@Repository`

 

스프링 빈 등록 이미지

  • `memberService` 와 `memberRepository` 가 스프링 컨테이너에 스프링 빈으로 등록되었다.
  • 참고: 스프링은 스프링 컨테이너에 스프링 빈을 등록할 때, 기본으로 싱글톤으로 등록한다(유일하게 하나만 등록
    해서 공유한다) 따라서 같은 스프링 빈이면 모두 같은 인스턴스다. 설정으로 싱글톤이 아니게 설정할 수 있지만,
    특별한 경우를 제외하면 대부분 싱글톤을 사용한다.

자바 코드로 직접 스프링 빈 등록하기

  • 회원 서비스와 회원 리포지토리의 @Service, @Repository, @Autowired 애노테이션을 제거하고 진행한다.
  • 여기서는 향후 메모리 리포지토리를 다른 리포지토리로 변경할 예정이므로, 컴포넌트 스캔 방식 대신에 자바 코드로 스
    프링 빈을 설정하겠다.
  • 참고: XML로 설정하는 방식도 있지만 최근에는 잘 사용하지 않으므로 생략한다.
  • 참고: DI에는 필드 주입, setter 주입, 생성자 주입 이렇게 3가지 방법이 있다. 의존관계가 실행중에 동적으로 변하는 경우는 거의 없으므로 생성자 주입을 권장한다.
    • 필드 주입은 바꿀 수가 없어서 별로 사용하지 않는다.
  • 참고: 실무에서는 주로 정형화된 컨트롤러, 서비스, 리포지토리 같은 코드는 컴포넌트 스캔을 사용한다. 그리고 정
    형화 되지 않거나, 상황에 따라 구현 클래스를 변경해야 하면 설정을 통해 스프링 빈으로 등록한다.
    • 아직 데이터 저장소가 정해지지 않은 상황
    • MemoryMemberRepository를 바꾸는 상황 
      • 다른 코드에 일절 손대는 것 없이, 이것만 바꿔주면 된다. (예시: MemoryMemberRepository  => DbRepository)
  • 주의: `@Autowired` 를 통한 DI는 `helloController` , `memberService` 등과 같이 스프링이 관리하는 객체
    에서만 동작한다. 스프링 빈으로 등록하지 않고 내가 직접 생성한 객체에서는 동작하지 않는다.
  • 스프링 컨테이너, DI 관련된 자세한 내용은 스프링 핵심 원리 강의에서 설명한다.
    • 더 자세하게 공부해야 되는 부분이다.
반응형

'개발 > 스프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GET, POST 메서드  (0) 2025.09.22
회원 관리 예제 - 웹 MVC 개발  (0) 2025.09.22
회원 관리 예제 - 백엔드 개발  (0) 2025.09.19
스프링 웹 개발 기초  (1) 2025.09.18
spring 환경설정  (1) 2025.09.08