Homomorphic Multiplication and Encoding
2025. 9. 30. 13:30ㆍ개발/인공지능 보안
반응형
1. Real Number Operations
- AI에서는 정수보다 실수 연산이 더 많이 사용됨.
- 따라서 암호화도 실수 데이터를 다룰 수 있어야 함.
- Fixed-point encoding 방식 활용 (스케일링).
2. Encoding for Real-Coefficient Polynomials
- 기본 Ring-LWE 암호화는 비트 벡터만 처리 가능.
- 실계수 다항식을 처리하기 위해 스케일링 인자 Δ 사용.
- m∈Q[X]/(XN+1) → Δm∈Zq[X]/(XN+1)
- 조건: .
3. Ring-LWE Encryption for Real Polynomials
- KeyGen
- a←U(Rq), e←χn
- .
- Enc
- .
- Dec
- . 스케일링 Δ−1\Delta^{-1}로 원복.
4. Approximate Decoding
- 복호화 결과는 .
- 오차가 작으면 올바른 근사치 복구 가능.
- 따라서 “근사 준동형 암호 (Approximate HE)” 라고 부름.
5. Homomorphic Addition
- 암호문 단순 합
- (b1,a1)⊕(b2,a2) = (b1+b2, a1+a2)
- 복호화
- .
6. Homomorphic Plaintext Multiplication
- 평문 상수 (p)와 곱하기
- (b,a)↦(Δp⋅b,Δp⋅a)
- 결과: Δ^2mp+Δpe.
7. Homomorphic Multiplication (Ciphertext × Ciphertext)
- 두 암호문 곱: 복호화 시 Δ2m1m2+noise.
- 문제: 항에 s² 가 등장 → 직접 복호화 불가.
- 해결:
- 보조 암호문 (ct2) 정의 (s² 관련).
- Key-Switching 이용 → s² 를 다시 s에 맞는 형태로 변환.
- Relinearization 과정.
8. Key-Switching
- 암호문을 (s_1)에서 (s_2)로 변환.
- Key-Switching Key 필요
- Encs2(Ps1) 형태로 공개.
- 연산 시 (P^{-1}) 적용(division with rounding).
- 이를 통해 곱셈 결과에서 나온 (s^2) 항을 다시 (s) 기반 암호문으로 바꿀 수 있음.
9. Rescaling
- 곱셈 시 스케일링 인자 Δ가 제곱됨 (Δ → Δ² → Δ⁴ → …).
- 따라서 각 곱셈 후에 다시 Δ로 줄여야 함.
- 방법: 모듈러스 축소 및 divide-and-round.
✅ 핵심 요약
- 실수 연산 지원: 스케일링 Δ 사용.
- 근사 복호화: 작은 오류는 무시 가능.
- 덧셈/곱셈: 암호문 조합으로 가능.
- 곱셈 문제: (s^2) 항 발생 → Key-Switching + Relinearization으로 해결.
- Rescaling: 곱셈 후 증가한 Δ를 다시 줄여줌.
반응형
'개발 > 인공지능 보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Homomorphic Encryption / Ring-LWE (0) | 2025.09.18 |
---|---|
Homomorphic Encryption (0) | 2025.09.17 |
LWE (Learning With Errors) (0) | 2025.09.17 |
LWE, Lattice, Reduction 이해하기 (0) | 2025.09.09 |
보안 예비 지식 (Preliminaries) (0) | 2025.09.0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