Homomorphic Encryption
2025. 9. 17. 16:23ㆍ개발/인공지능 보안
반응형
📌 동형암호(Homomorphic Encryption)
- 동형사상(Homomorphism):
- 두 대수 구조(예: 군, 환, 체) 사이의 연산 구조를 보존하는 함수. → f(a∗b)=f(a)∘f(b)형태.
- 동형암호의 개념
- 평문에서의 연산(+, ×)이 암호문에서도 대응되는 연산(⊕, ⊙)으로 가능.
- Dec(Enc(m1) ⊛ Enc(m2)) = m1 ∗ m2
- 즉, 암호문 상태에서 연산을 수행해도 복호화하면 올바른 결과가 나옴.
- 평문에서의 연산(+, ×)이 암호문에서도 대응되는 연산(⊕, ⊙)으로 가능.
- 정의
- 임의의 회로(산술회로/논리회로)를 암호화된 상태에서 계산할 수 있는 암호 기법.
- 구성: (KeyGen, Enc, Eval, Dec)
- 조건: 정확성(Correctness), 안전성(Security: IND-CPA)
- 임의의 회로(산술회로/논리회로)를 암호화된 상태에서 계산할 수 있는 암호 기법.
📌 동형암호의 특징
- 정확성(Correctness): 암호화/연산 후 복호화하면 원래 연산 결과와 동일해야 함.
- 안전성(Security): IND-CPA(선택 평문 공격에 대한 안전성) 보장 필요.
- 성질: 공용키 기반 암호의 확장으로, 동형연산 알고리즘이 추가되더라도 IND-CPA 안전성을 유지함.
📌 동형암호 발전 단계
- LWE 기반 암호
- Ring-LWE 기반 공개키 암호 (PKE)
- Ring-LWE 기반 제한적 동형암호 (Leveled HE)
- Ring-LWE 기반 완전 동형암호 (Fully HE)
- 부트스트래핑(Bootstrapping) 기법 활용
- 응용: 프라이버시 보존 머신러닝, CKKS (근사 수치 계산 지원)
✅ 요약
- 동형암호는 "암호문 상태에서 연산 가능"한 암호 기법
- 핵심 조건: 정확성 + IND-CPA 보장
- 기반: LWE → Ring-LWE
- 발전: 공개키 암호 → 제한적 동형암호 → 완전 동형암호 → 머신러닝 응용
반응형
'개발 > 인공지능 보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LWE (Learning With Errors) (0) | 2025.09.17 |
---|---|
LWE, Lattice, Reduction 이해하기 (0) | 2025.09.09 |
보안 예비 지식 (Preliminaries) (0) | 2025.09.0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