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실습] 화면 UI 디자인을 보고 DB 설계해보기
2025. 8. 21. 16:50ㆍ개발/DB
반응형
* 이 글은 개발 공부를 위한 블로그글로 지식전달보다는 개발 공부 일지에 초점이 맞춰져 있으니 유의하시길 바랍니다.
UI 하나하나보고 데이터 파악하기
- 프론테엔드 개발자에게 하나하나 어떤 데이터를 뜻하는 지 물어봐야 함.
- 보통 피그마 많이 사용함.
- 프론트에서 고정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고, 자주 바뀌는 데이터라면 백엔드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프론트로 가지고 가게 할 수도 있다. 이 부분은 그때그때마다(서비스마다) 다르다.
- 프론트와의 소통이 아주 중요해보인다. 자주자주 물어보고 확인하는 과정이 꼭 필요하다.
*역정규화개념이 있을 수 있다. 테이블을 나눠주지 않고 데이터를 사용하는 경우인데, 이는 나중에 데이터베이스를 숙달한 후에, 다시 공부하는 것을 추천한다.
데이터를 파악하고 나서부터는 6가지 규칙을 적용해준다.
- 날짜 데이터는 정확한 시간을 기록해두는 것이 좋다.
JSCODE 게시판
1. ui보고 데이터 파악 및 6가지 규칙에 따라 테이블 분리
사용자(users) | id | username | password | 프로필이미지url | 자기소개 | |
게시글(posts) | id | 게시글 작성자,user_id(FK) | 작성 날짜 | 제목 | 소제목 | 내용 |
해시태그(hashtags) | id | hashtag_name | ||||
posts_hashtags | id | posts_id(FK) | hashtags_id(FK) | |||
팔로우(follows) | id | 팔로우 한 사람,user_id(FK) | 팔로우 받은 사람,user_id(FK) | |||
좋아요(likes) | id | 좋아요 누른 사람,user_id(FK) | 좋아요 누른 게시글, posts_id(FK) | |||
댓글(comments) | id | 댓글 작성자,user_id(FK) | 작성날짜 | 내용 | 어떤 게시글의 댓글, posts_id(FK) |
2. erdcloud로 자료화
JSCODE 투두리스트
1. ui보고 데이터 파악 및 6가지 규칙에 따라 테이블 분리
- 자주 조회되지 않는 데이터는 프론트에서 저장한다. 백엔드에서 조회한 다음 보내주는 작업을 하는 경우는 데이터가 자주 바뀌는 경우이다.
- 프론트에서 고정해서 보여주실래요? 백엔드에서 조회해서 데이터를 보내주실래요?
사용자(users) | id | username | password | 이미지 | ||||
임무(tasks) | id | 제목 | 내용 | 마감 날짜 | 우선순위 | 완료여부(treu: 완료. false: 완료x | 카테고리, categories_id(FK) | 사용자, user_id(FK) |
카테고리(categories) | id | 카테고리이름 | 이미지 | 색깔 color_id(FK) | ||||
colors(색깔) | id | 색깔코드 | ||||||
집중 시간 히스토리(Focus_histories) | id | 집중한 시간 | 기록 날짜 | 사용자, user_id(FK) |
2. erdcloud로 자료화
반응형
'개발 > DB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설계한 모델을 실제 DB에 반영하기 (1) | 2025.08.26 |
---|---|
ERD란 ? / ERD 해석하기 (0) | 2025.08.21 |
[실습] 요구사항을 보고 DB 설계해보기 - JSCODE 커뮤니티 (0) | 2025.08.21 |
[실습] 요구사항을 보고 DB 설계해보기 - JSCODE 쇼핑몰 (0) | 2025.08.21 |
⭐️복잡한 개념을 몰라도 누구나 따라할 수 있는, 마법의 DB 설계 규칙 5가지⭐️ (3) | 2025.08.2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