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상현상(2)
-
[실습] 화면 UI 디자인을 보고 DB 설계해보기
* 이 글은 개발 공부를 위한 블로그글로 지식전달보다는 개발 공부 일지에 초점이 맞춰져 있으니 유의하시길 바랍니다.UI 하나하나보고 데이터 파악하기- 프론테엔드 개발자에게 하나하나 어떤 데이터를 뜻하는 지 물어봐야 함.- 보통 피그마 많이 사용함.- 프론트에서 고정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고, 자주 바뀌는 데이터라면 백엔드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프론트로 가지고 가게 할 수도 있다. 이 부분은 그때그때마다(서비스마다) 다르다.- 프론트와의 소통이 아주 중요해보인다. 자주자주 물어보고 확인하는 과정이 꼭 필요하다.*역정규화개념이 있을 수 있다. 테이블을 나눠주지 않고 데이터를 사용하는 경우인데, 이는 나중에 데이터베이스를 숙달한 후에, 다시 공부하는 것을 추천한다.데이터를 파악하고 나서부터는 6가지 규칙..
2025.08.21 -
DB 설계의 핵심 원칙 및 전체 과정
* 이 글은 개발 공부를 위한 블로그글로 지식전달보다는 개발 공부 일지에 초점이 맞춰져 있으니 유의하시길 바랍니다.DB 설계할 때 이런 개념들 몰라도 아무 문제 없습니다!- 기본키, 후보키, 대체키, 슈퍼키- 개체-관계 모델- 모델링 과정 (개념적 모델링, 논리적 모델링, 물리적 모델링)- 이상현상 (삭제이상, 삽입이상, 수정이상)- 함수 종속성 - 제1정규형 ~ 제5정규형, BCNF 정규형 / 부분적 함수 종속, 이행적 함수 종속 DB 설계 시 꼭 기억해야 할 핵심 원칙 1가지중복 없애기 = 정규화정규화 (Normalization)- 데이터 중복을 제거하여 이상현상(삽입이상, 삭제이상, 수정이상)을 방지하고 데이터의 무결성을 유지하도록 한다.- 데이터를 잘못 수정해서 어떤 테이블에서는 수정했으나 다른 ..
2025.08.2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