Introduction

2025. 10. 1. 17:59개발/컴퓨터통신

반응형

1) 한 줄 핵심

  • 표준(Standard) = 상호운용성 보장 + 열린 시장 형성의 필수조건. 표준화 기구가 합의로 문서화한다.
  • 주소 3종(TCP/IP): 물리(링크 사이), IP(글로벌 논리 주소), 포트(프로세스 식별).
  • 프로토콜 구성 3요소: 문법(Syntax)·의미(Semantics)·타이밍(Timing).
  • IETF ↔ RFC: 인터넷 표준은 IETF가 RFC로 발행, Draft→Proposed→Standard 단계.

2) 반드시 기억할 정의

  • 프로토콜: 서로 다른 시스템의 “엔터티(사람/컴퓨터/소프트웨어 등)” 간 데이터 교환 규칙 집합.
  • 통신 아키텍처: 시스템 구성요소와 상호작용 정의. 주소체계: 주소 지정 방법. 프로토콜: 전송 규칙/절차.
  • 주소 체계(예: TCP/IP)
    • 물리 주소(예: NIC/MAC 등): 장치↔장치 구분, 홉을 지날 때마다 갱신됨.
    • IP 주소: 전 세계 장치의 논리 주소(사설 IP는 NAT로 공인IP로 변환).
    • 포트 번호: 한 컴퓨터 내 프로세스 식별(TCP/UDP가 포트 사용).
  • 계층 상호작용: TCP에서 보낸 데이터에 IP 헤더 부착 → 데이터링크 계층이 물리 주소 붙여 전송. 링크 기술이 바뀌어도 절차는 동일.
  • 프로토콜 요소 3가지
    • 문법: 데이터 형식/구조
    • 의미: 필드의 문맥적 의미
    • 타이밍: 언제/얼마나 빨리 보낼지

3) 표준화 기구 & 역할(표/암기용)

  • ITU: UN 산하
    • ITU-T: 유선 전기통신 표준(네트워크/전송/보안 등)
    • ITU-R: 주파수·위성 궤도 관리, 무선 표준
  • ISO: OSI 7계층 등 컴퓨터 통신망 표준 제정(비정부기구).
  • ANSI/IEEE/EIA: 미국 내 전자·통신·케이블/커넥터 등 표준.
  • 산업 포럼: ATM Forum, Frame Relay Forum 등 특정 계층/기술 협의체.
  • 규제기관 예시: FCC—주파수 관리, 통신 규제, 경쟁 촉진 등(역할 예시로 소개됨).
  • IETF: 인터넷 표준(RFC) 개발·발행, 작업그룹 운영, 개방적 합의 중심.

4) RFC 표준화 흐름(시험 포인트)

  1. Internet-Draft 제출 → 커뮤니티 논의
  2. Proposed Standard(합의)
  3. Draft Standard(독립적 구현 ≥2, 동작 시연)
  4. Internet Standard(합의 확정)
    ※ 그 외: Informational(정보 제공), Experimental(실험용), Historic(역사적 문서)로 남음.

5) 장비/전송 기술 배치 감각

  • IP 위에 다양한 하부 전송망(ATM, SONET/SDH, WDM)이 깔릴 수 있음. 통신장비(스위치/라우터/교환기)는 이런 계층 인터페이스를 갖춘 “통신 특화 컴퓨터”.
  • WDM: 파장 다중으로 한 섬유에 여러 신호 동시 전송. SONET/SDH: 링 구성으로 고장 시에도 연속 동작. ATM: 음성+데이터 혼합 가상망 전송.

6) 주소 전달의 실제(그림 설명형)

  • 송신 측에서 TCP 세그먼트 → IP 패킷 → 링크 프레임 순으로 캡슐화.
  • 각 중간 장비(라우터 등)에서 링크 계층 물리 주소는 매 홉마다 갱신, 최종 목적지의 IP(논리) 주소는 변하지 않음.

7) 인터넷 역사 키워드

  • ARPANET → TCP/IP 기반 인터넷, Vint Cerf & Robert Kahn이 TCP 설계(역사 소개 수준으로 언급).

8) “딱 나오는” 개념 OX/단답 체크리스트

  • ( ) 표준의 1차 목적은 상호운용성 보장이다. → O
  • ( ) 포트 번호는 호스트 식별에 사용된다. → X(프로세스 식별)
  • ( ) 물리 주소는 경유 장치(라우터)를 지날 때 그대로 유지된다. → X(매 홉 갱신)
  • ( ) IETF 표준은 RFC라는 문서로 공개된다. → O
  • ( ) 프로토콜 구성요소는 Syntax/Pragmatics/Timing이다. → X(Syntax/Semantics/Timing)

9) 기출형 서술 대비 포인트(짧게)

  • IETF 표준화 절차를 단계와 기준(“독립 구현 2개 이상”)을 포함해 서술.
  • 주소 3종 역할계층별 부착 헤더를 도식으로 설명(응용→전송→인터넷→링크).
  • 표준화 기구 구분(ITU-T/ITU-R/ISO/IETF/IEEE/EIA/FCC)과 담당 범위.
  • 프로토콜 요소 3가지 각 의미와 예시(문법=헤더 포맷, 의미=플래그 의미, 타이밍=RTT/플로우).

10) 30초 암기 카드(초압축)

  • 표준=상호운용성, 기구=ITU(유선/무선), ISO(OSI), IETF(RFC).
  • 주소=물리(링크) / IP(논리) / 포트(프로세스). 홉마다 물리 갱신, IP 불변.
  • 프로토콜 3요소=Syntax/Semantics/Timing.
  • RFC 흐름=Draft→Proposed→(2개 구현)Draft Standard→Internet Standard, 기타 Informational/Experimental/Historic.
  • 전송 인프라 키워드=ATM / SONET·SDH / WDM.
반응형

'개발 > 컴퓨터통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LAN & WAN Technologies  (0) 2025.09.30
데이터링크제어 (Data Link Control)  (0) 2025.09.23
동기화 및 오류제어  (0) 2025.09.23
전송 (Transmission)  (0) 2025.09.23
Electronics & Signals (전기와 신호)  (1) 2025.09.23