DB 설계 전 필수로 알아야 하는 개념

2025. 8. 19. 18:30개발/DB

반응형

* 이 글은 개발 공부를 위한 블로그글로 지식전달보다는 개발 공부 일지에 초점이 맞춰져 있으니 유의하시길 바랍니다.

 

데이터베이스 모델링(Database Modeling)이란? 

- 데이터들을 찾기 쉽게 효율적으로 정리해서 저장한다.

- 특정규칙들을 기반으로 데이터를 정리한다.

 

관계형 데이터베이스(RDBMS)의 기본 구성

- Mysql 같은 데이터베이스를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라고 부른다.

- 테이블에는 열(Column)과 행(Row)이 존재한다.

출처 : 혼자 공부하는 SQL (우재남, 한빛미디어)

PK(Primary Key, 기본키)란?

- 특정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값

- 중복X, 비어있어도 X

 

현업에서 PK(Primary Key)는 어떻게 설정할까?

- 현업에서는 PK(Primary Key)를 주로 Auto Increment(숫자가 1씩 증가하는 방식)UUID(랜덤값)로 설정을 많이 한다.

 

FK(Foreign Key, 외래키)란?

- 다른 테이블의 데이터를 참조하는  값

 

참조 무결성

- 기본키에 없는 값이 외래키에 들어있으면 안된다.

- 결점이 없도록 유지하는 특성

 

무결성

- 이터의 정확성, 완전성, 일관성 및 신뢰성을 유지하는 것

 

데이터베이스 네이밍 규칙

 테이블명, 컬럼명을 소문자로 작성한다.

-  Mysql은 운영체제에 따라서 대문자를 인식하기도 하지만 인식, 구분하지 않을 때도 있다.

 snake_case를 사용한다.

firstName // Bad!
first_name // Good!

 축약어를 사용하지 않는다.

- 직관적일 수록 좋다.

- 20글자가 넘어가더라도 무슨 변수인지 알기 쉽게 하는 것이 더 낫다.

- 개발은 혼자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.

SQL문을 작성할 때 예약어만 대문자로 표현해라. (가독성)

 테이블명을 지을 때는 복수형을 사용한다. (선택)

- 회사마다 다를 수 있다

- 복수형을 사용하는 이유는 여러 데이터가 들어있음을 나타내기 위함이다.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