파일을 작성/조회할 때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
2025. 9. 6. 15:35ㆍ개발/리눅스
반응형
리눅스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텍스트 에디터 (vim)
- vscode, intellij 등 여러가지가 있지만, 리눅스에서는 vim을 쓴다.
- 리눅스 환경에서는 리눅스 환경에 최적화된 텍스트 에디터를 주로 사용한다.
- vim = vi
- nano
- emacs
- 등등
vim 에디터 기본 사용법 - 1
- vi app.txt: 파일이 없다면 생성, 있다면 조회를 하게 된다.
- 파일 수정할 때, i를 눌러 insert모드로 들어간다.
- 파일 수정을 다했을 땐, esc를 통해 command모드로 들어간다.
- :wq를 누르면 수정한대로 수정이 되어 저장된다.
- :q를 누르면 수정이 되지 않고 저장된다.
vim 에디터 기본 사용법 - 2
- No write sice last change (add ! to override) => :q!로 종료한다.
다시 들어가보면 아래 사진처럼 화면이 뜬다.

[O]pen Read-Only, (E)dit anyway, (R)ecover, (D)elete it, (Q)uit, (A)bort
- (R)ecover : r 버튼을 누르고 Enter를 누르면 이전에 편집한 내용을 복구한 뒤, 이어서 파일을 수정할 수 있게 된다.
- (D)elete it : d 버튼을 누르면 이전에 편집한 내용을 복구하지 않고, 기존 파일에서 수정할 수 있게 된다.
- (Q)uit : q 버튼을 누르면 아무 작업도 하지 않고 그냥 vim을 종료한다.
- 아무 작업도 하고 싶지 않을 때는 q 버튼을 눌러 vim을 종료하면 된다.
- 이전에 편집한 내용을 복구하지 않고, 기존 파일에서 수정을 하고 싶을 때는 d 버튼을 누르면 된다. 그리고 :wq로 수정한 내용을 저장하면 된다.
- 이전에 편집한 내용을 복구한 뒤, 이어서 파일을 수정하고 싶을 때는 r 버튼을 누르면 된다. 그리고 :wq로 수정한 내용을 저장하고 .app.txt.swp 파일을 삭제하면 된다.
.swp
라는 확장자를 가진 파일은 vim에서 편집 중이던 작업 내용을 임시 저장해서 비정상 종료 시 복구할 수 있도록 하는 파일이다. 이 파일은 vim에서 INSERT 모드로 파일을 수정하는 순간 생성된다.
파일에 작성된 내용 보기 (vim, cat)
- cat 명령어 활용: cat이라는 명령어는 파일 내용을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. 이 명령어를 통해 파일 내에 작성된 내용을 볼 수도 있다.
✅ 텍스트 양이 많은 파일을 봐야 할 때
- 텍스트 양이 많은 파일을 읽어야 할 때 → vi를 사용
- 텍스트 양이 적은 파일을 읽어야 할 때 → cat을 사용
✅ 텍스트 양이 많은 파일을 읽을 때, 자주 사용하는 편의 기능 (vim)
- 파일 내용의 맨 끝을 보고 싶을 경우
- Command 모드에서 G(Shift + g) 입력하기
- 파일 내용의 맨 처음을 보고 싶을 경우
- Command 모드에서 gg 입력하기
- 한 페이지 스크롤 내리기** 참고) f를 forward(정방향[글을 읽어내려가는 방향]으로 이동)라고 기억하자.
- Command 모드에서 Ctrl + f 입력하기
- 한 페이지 스크롤 올리기** 참고) b를 backward(역방향으로 이동)라고 기억하면 편하다.
- Command 모드에서 Ctrl + b 입력하기
반응형
'개발 > 리눅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리눅스에서 빈번하게 마주치는 권한 문제(Permission Denied) (0) | 2025.09.08 |
---|---|
필수로 꼭 알아야 하는 기본 명령어 (0) | 2025.09.05 |
리눅스 기본 개념 / 리눅스 실습 환경 구축 (0) | 2025.09.02 |